Appearance
데이터 기반 성장 인사이트 만들기
앱이 성장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지금의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해요.
앱인토스의 콘솔 대시보드를 통해 AU, 리텐션 등의 지표를 한눈에 보고 성장의 흐름을 파악해보세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 액션을 정하면, 더 빠르고 확실한 성장을 만들 수 있어요.
토스 기능으로 데이터 인사이트 발견하기
① DAU
DAU는 Daily Active Users로서, 일간 활성 사용자 수를 의미해요.
즉, 하루 동안 앱을 실제로 이용한 사용자 수를 나타내요.
DAU를 통해서 일별 사용자 활동 변화를 통해 앱의 '실제 이용 규모' 와 '활동 흐름' 을 확인할 수 있어요.
DAU의 해석 포인트는 아래와 같아요.
- 지속적인 하락은 신규 유입이 줄거나 리텐션이 약화된 신호예요.
- 일시적 급등/급락은 캠페인, 이벤트, 업데이트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어요.
- 유입과 리텐션 데이터를 함께 비교하면 감소의 원인이 ‘유입 부진’ 인지 ‘이탈 증가’ 인지 판단할 수 있어요.
👉 액션 아이템
- 하락 추세 시: 신규 유입 경로(푸시, 토스 홈 광고 등)를 점검하고, 유입 캠페인 강화를 고려해요.
- 급등 시: 일시적 반응인지, 장기적 이용으로 이어지는지 리텐션 지표로 검증해요.
- 요일별 DAU 분석을 통해 사용자 이용 패턴에 맞춘 푸시 발송 타이밍을 최적화해요.
② 사용자 특성 정보
대시보드에서 사용자 특성 정보인 OS, 성별, 연령대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요.
앱을 사용하는 주요 타겟이 누구인지, 실제 이용층이 예상과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어요.
사용자 특성 정보의 해석 포인트는 아래와 같아요.
- Android와 iOS 사용 비율이 크게 차이나면, 플랫폼별 UI/UX 또는 마케팅 효율을 점검할 필요가 있어요.
- 서비스 특성상 어떤 성별과 연령이 더 반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 액션 아이템
- OS별 성과 차이가 있다면 UI/UX 테스트 또는 이벤트 노출 방식을 조정해요.
- 특정 연령·성별 비중이 높을 경우, 그에 맞는 콘텐츠 톤앤매너·혜택 구성으로 타겟 메시지를 강화해요.
- 예상 타겟과 실제 이용층이 다를 때, 세그먼트 기준을 재정의하거나 신규 타겟 확장 전략을 세워요.
③ 리텐션
리텐션은 최초 방문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도 앱을 다시 이용하는 사용자의 비율을 나타내요.
리텐션을 보면 ‘앱이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자를 붙잡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요.
리텐션의 해석 포인트는 아래와 같아요.
- 초기 리텐션(WEEK 1)은 첫 경험의 만족도를, 장기 리텐션(WEEK 4 이후)은 습관화 정도를 반영해요.
- 리텐션 하락 구간을 찾으면, 사용자 이탈이 발생하는 시점을 명확히 알 수 있어요.
- 리텐션은 단독 지표로 보기보다, 푸시·프로모션·UI 개선 등 실험 결과와 함께 해석해야 정확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어요.
👉 액션 아이템
- 리텐션 강화: 주기적 혜택, 도전 미션, 알림 리마인드 등으로 반복 사용 동기를 만들어요.
- 리텐션 하락 시점 분석을 통해 UI 개선, 콘텐츠 갱신, 푸시 타이밍 조정 등 구체적 개선 실험을 실행해요.